쇠막대기
x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합니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릅니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합니다.-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습니다.-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습니다.-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합니다.-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습니다.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줍니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입니다.(그림)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a)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모든 '()'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합니다.(b)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로,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로 표현됩니다.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습니다.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리는데,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립니다.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표현한 문자열 arrangemen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잘린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제한사항arrangement의 길이는 최대 100,000입니다.arrangement의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는 항상 쌍을 이룹니다.
쇠막대기와 레이저 모두 괄호로 표시되어있어 구분이 잘 가지 않으니 우선 레이저는 |로 바꿔주었다.
쇠막대기의 시작에서 쇠막대기의 개수와 결과물 개수를 늘려주고, 끝날 때 쇠막대기 개수를 줄여주며, 레이저가 나타나면 잘린 쇠막대기의 개수만큼 결과물의 개수에 더해준다.
x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arrangement) { int answer = 0; int steel = 0; arrangement = arrangement.replace("()", "|"); for (int i = 0; i < arrangement.length(); i++) { switch (arrangement.charAt(i)) { case '(' : steel++; answer++; break; case ')' : steel--; break; default : answer += steel; break; } } return answer; }}
이번에도 문제에서 스택/큐가 상위 카테고리였는데 당당하게 다른 방법으로 풀었기 때문에, 다시 스택을 사용해서 풀이해보았다.
여러방법으로 풀어보기 위해서지 절대 몰라서 그런게 아니라고 자기합리화를 해본다..
x
import java.util.Stack;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arrangement) { int answer = 0; Stack<Integer> steel = new Stack<Integer>(); arrangement = arrangement.replace("()", "|"); for (int i = 0; i < arrangement.length(); i++) { switch (arrangement.charAt(i)) { case '(' : steel.push(1); answer++; break; case ')' : steel.pop(); break; default : answer += steel.size(); break; } } return answer; }}
그냥 위의 코드에서 steel을 스택으로 바꾸어준 것 밖에 다른 것이 없기 때문에 따로 설명은 하지않겠다.
'공부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rogrammers] K번째수 (0) | 2019.01.05 |
|---|---|
| [programmers] 더 맵게 (0) | 2018.11.01 |
| [programmers] 완주하지 못한 선수 (0) | 2018.10.28 |
| [codility] Triangle (0) | 2018.07.14 |
| [programmers] 올바른 괄호 (0) | 2018.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