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notation2

[Spring] Http 요청 파라미터 Annotation 스터디 진행 중 백엔드 구현내용에 대해 코드리뷰를 진행하다가 컨트롤러단 설명중 어느분이 물어보셨다."왜 저 메소드에서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을 쓰셨나요?"나는 백엔드 파트가 아니었어서 듣기만 했지만 내심 궁금해졌다. 나도 그냥 쓰던대로 잡히는대로 썼던 것 같은데,어노테이션 각각의 장단점을 정리를 해보아야겠다고 생각했다. @PathVariablexxxxxxxxxx // TODO select item/* 기본 포맷 */@RequestMapping("/item/{id}")public String getItemName1(@PathVariable String id) { // TODO select item}​/* value 사용 * @PathVariable(value="id") or @PathVari.. 2019. 12. 20.
서블릿(Servlet)이란? 서블릿(Servlet).md 서블릿(Servlet) JSP 표준을 사용하기 이전에 동적인 웹페이지를 만들려면 Java를 이용해 일일이 태그를 만들어서 서버로 전송해야 했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 Java 코드를 이용해 태그를 만들어서 보내는 방식이었다. 이 작업은 네트워크 연결부터 각종 객체의 생성 등 해야 할 일이 너무 많아 개발자가 혼자 작업하려면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클래스를 따로 만들어 대부분의 내부적인 처리는 이 클래스가 맡고 나머지를 개발자가 채우는 방식으로 개발했다. 일반적인 서블릿의 개발 과정서블릿 규약에 따라 자바코드를 작성한다.자바코드를 컴파일해 클래스 파일을 생성한다./WEB-INF/classes 폴더에 클래스파일을 패키지에 맞게 위치시킨다. (보통 자동으로 생성됨)web.. 2018.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