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트 게임
x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1.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2.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3.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4.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5.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6.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7.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8.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9.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이 문제 너무 재밌다 !
처음에 계속 틀리길래 뭐야.. 왜안돼..뭐야.. 웅성웅성 이랬는데
문제를 잘못본거였다. 스타상(*)이 걸릴 경우에는 현재 점수랑 바로 전에 얻은 점수만 두 배를 해주는 거였다.
아무튼, 문제 푸는 것도 재밌었는데, 다른사람들이랑 풀이방식이 너무 달라져서
다른사람이 어떻게 풀었나 보는 재미도 있는 문제였다.
그냥 문제 그대로 풀어서 제출했기 때문에 다들 나랑 비슷하게 풀었겠거니 했는데
스택 사용해서 푼 사람도 있고,
전체를 if문으로 사용해서 푼 사람도 있고, (나는 한 두개일 경우에는 if문이 더 낫지만 가짓수가 많은 경우에는 switch문이 낫다고 들어서 switch문으로 풀었다.)
내가 default로 지정한 로직을 switch 밖에 빼서 푼 사람도 있었다.
나는 어떻게 풀었나 하면
주어진 String을 Character 배열로 바꾸어서 반복문을 돌렸다.
각 캐릭터를 특정문자인지, 숫자인지 구분해서 처리했다.
아차상과 스타상 처리하는 부분이 꽤 까다로웠는데, (문제를 잘못봐서ㅎㅎ,,,)
조금만 문제를 찬찬히 읽으면서 고민해보면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현재값과 이전값을 적절히 저장해가면서 처리하는 게 관건인 듯 하다.
xxxxxxxxxx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dartResult) {
int answer = 0;
char[] charArr = dartResult.toCharArray();
String tmpStr = "";
int beforeInt = 0;
int tmpInt = 0;
for (char c : charArr) {
switch(c) {
case 'S':
answer += tmpInt;
tmpStr = "";
break;
case 'D' :
answer += Math.pow(tmpInt, 2);
tmpInt = (int) Math.pow(tmpInt, 2);
tmpStr = "";
break;
case 'T' :
answer += Math.pow(tmpInt, 3);
tmpInt = (int) Math.pow(tmpInt, 3);
tmpStr = "";
break;
case '*' :
answer += (beforeInt + tmpInt);
tmpInt *= 2;
break;
case '#' :
answer -= (tmpInt * 2);
tmpInt *= -1;
break;
default :
if (tmpStr.equals("")) beforeInt = tmpInt;
if (Character.isDigit(c)) tmpStr += c;
tmpInt = Integer.parseInt(tmpStr);
break;
}
}
return answer;
}
}
'공부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1차] 멀쩡한 사각형 (0) | 2020.02.26 |
---|---|
[programmers] [1차] 비밀지도 (0) | 2020.02.26 |
[programmers] 실패율 (0) | 2020.02.15 |
[codility] Dominator (0) | 2020.01.06 |
[codility] StoneWall (0) | 2019.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