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쩡한 사각형
x가로 길이가 Wcm, 세로 길이가 Hcm인 직사각형 종이가 있습니다. 종이에는 가로, 세로 방향과 평행하게 격자 형태로 선이 그어져 있으며, 모든 격자칸은 1cm x 1cm 크기입니다. 이 종이를 격자 선을 따라 1cm × 1cm의 정사각형으로 잘라 사용할 예정이었는데, 누군가가 이 종이를 대각선 꼭지점 2개를 잇는 방향으로 잘라 놓았습니다. 그러므로 현재 직사각형 종이는 크기가 같은 직각삼각형 2개로 나누어진 상태입니다. 새로운 종이를 구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종이에서 원래 종이의 가로, 세로 방향과 평행하게 1cm × 1cm로 잘라 사용할 수 있는 만큼만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가로의 길이 W와 세로의 길이 H가 주어질 때, 사용할 수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를 구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W, H : 1억 이하의 자연수
처음에 쉽게 풀려고 머리 안굴리고 하다가 ㅠ..ㅋㅋ 실패했다.
직접 그려보면서 했을 때는 이거다~ 라고 생각하고 풀어서 냈는데, 아니었다.
x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int w,int h) {
long area = (long) w * h;
int shortSide = Math.min(w, h);
int longSide = Math.max(w, h);
return area - (long) Math.ceil((double) longSide / shortSide) * shortSide;
}
}
정확도 50퍼..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그래서 프로수학러에게 도움을 구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을 해서 다시 풀었다.
패턴을 봤을 때, 아래 그림과 같은 규칙이 생긴다.
반복되는 패턴은 (W/GCD)x(H/GCD)
의 너비를 가지고,
패턴 내 사용하지 못하는 사각형의 수는 (W/GCD)+(H/GCD)-1
이다.
그리고 해당 패턴은 GCD
개이다.
따라서 사용할 수 없는 사각형의 전체 개수는 GCD*((W/GCD)+(H/GCD)-1) = W+H-GCD
개가 된다.
전체 사각형 개수에서 사용할 수 없는 사각형의 개수를 빼주면 멀쩡한 사각형 개수가 나온다.
xxxxxxxxxx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int w,int h) {
long area = (long) w * h;
int shortSide = Math.min(w, h);
int longSide = Math.max(w, h);
int gcd = getGcd(shortSide, longSide);
return area - (shortSide + longSide - gcd);
}
// 최대공약수 반환 메서드
int getGcd(int s, int b) {
int tmp = 0;
while(s != 0) {
tmp = b % s;
b = s;
s = tmp;
}
return b;
}
}
BigInteger 클래스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한 줄로도 만들 수 있다.
x
import java.math.BigInteger;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int w,int h) {
return (long) w * h - (w + h - BigInteger.valueOf(w).gcd(BigInteger.valueOf(h)).longValue());
}
}
'공부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모의고사 (0) | 2020.05.18 |
---|---|
[programmers] 체육복 (0) | 2020.04.07 |
[programmers] [1차] 비밀지도 (0) | 2020.02.26 |
[programmers] [1차] 다트 게임 (0) | 2020.02.24 |
[programmers] 실패율 (0) | 2020.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