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뛰기
x효진이는 멀리 뛰기를 연습하고 있습니다. 효진이는 한번에 1칸, 또는 2칸을 뛸 수 있습니다. 칸이 총 4개 있을 때, 효진이는(1칸, 1칸, 1칸, 1칸)(1칸, 2칸, 1칸)(1칸, 1칸, 2칸)(2칸, 1칸, 1칸)(2칸, 2칸)의 5가지 방법으로 맨 끝 칸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멀리뛰기에 사용될 칸의 수 n이 주어질 때, 효진이가 끝에 도달하는 방법이 몇 가지인지 출력하는 jumpCase 함수를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4가 입력된다면, 5를 반환해 주면 됩니다.
완전 복잡한 문제라고 생각했다. ㅇㅏ니 한칸 두칸 뭐 어쩌라고.. ^^.. 했는데 1칸인 경우, 2칸인 경우, 3칸인 경우,... 모두 나열해 보니 피보나치 수열이 되었다.
진짜 한참을 고민했는데 피보나치 수열이라니.. 맥이 탁풀리면서 소스는 빠르게 작성했다.
1칸일 경우 count[1] = 2;에서 오류가 나기 때문에 그 전에 조건문을 사용해서 return시켜주었다.
x
class JumpCase { public int jumpCase(int num) { int answer = 0; int[] count = new int[num]; if (num == 1) return num; count[0] = 1; count[1] = 2; for (int i = 2; i < num; i++) { count[i] = count[i - 1] + count[i - 2]; } return count[num - 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JumpCase c = new JumpCase(); int testCase = 13; //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 System.out.println(c.jumpCase(testCase)); }}'공부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odility] BinaryGap (0) | 2018.05.22 |
|---|---|
| [programmers] 숫자의 표현 (0) | 2018.05.22 |
| [programmers] N개의 최소공배수 (0) | 2018.05.22 |
| [programmers] 야근 지수 (0) | 2018.05.22 |
| [programmers] 다음 큰 숫자 (0) | 2018.05.22 |
댓글